한림대학교 - OS Lab

용어정리


리눅스 명령어 - chmod

ai_users 2025.07.17 14:24 조회 수 : 41

chmod은 리눅스에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은 읽기, 쓰기, 실행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허용 여부를 나타냅니다. chmod 명령어는 이러한 권한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합니다.

 

chmod 명령어의 기본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chmod 권한옵션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권한 옵션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적용할 권한을 나타내는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755'라는 숫자는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모두 가진 소유자에게 지정하고, 읽기와 실행 권한만 가진 그룹과 다른 사용자에게 지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chmod 명령어의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파일 'example.txt'에 읽고 쓰기 권한을 모든 사용자에게 부여하려면: 

chmod 666 example.txt

 

- 디렉토리 'my_directory'에 소유자만 실행 권한을 부여하려면: chmod 700 my_directory

 

 

좀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man chmod 명령어를 사용해 도움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가 생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