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학교 - OS Lab

Glossary


리눅스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다양한 명령어들이 존재합니다. 몇 가지 주요 명령어와 그 용도를 간단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mysql:**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인 MySQL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몇 가지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mysql -u username -p`: MySQL 서버에 연결합니다.  username은 사용자 이름을 나타냅니다.

   - `CREATE DATABASE database_name;`: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합니다.

   - `USE database_name;`: 특정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합니다.

   - `SHOW TABLES;`: 현재 선택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목록을 표시합니다.

   - `SELECT * FROM table_name;`: 테이블에서 모든 행과 열을 선택하여 출력합니다.

 

**2. psql:**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MySQL과 유사하게 다양한 명령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 SQL 쿼리 실행 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psql -U username -d database_name`: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연결합니다.

 

**3. sqlite3:** 파일 기반의 작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직접 파일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GUI 없이 텍스트 기반으로 작업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 `sqlite3 database_name`: 특정 SQLite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열고 실행합니다.

 

**4. pgAdmin:**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데스크톱 도구입니다. GUI를 통해 테이블 생성, 데이터 수정, 쿼리 실행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리눅스에는 MongoDB, Redis, Elasticsearch와 같은 NoSQL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위한 명령어도 제공됩니다. 위에 언급된 주요 명령어들은 리눅스에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시작하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입니다.

 

 

AI가 생성한 글입니다..